3. 디오니소스 이제 소크라테스에 대한 니체의 이상스럽고 애정어린 증오로 돌아가 보자. 베르트람이 이미 그 점에 관해 본질적인 내용을 진술한 것은 맞지만, 아마도 니체의 복잡한 태도는 그가 향연의 소크라테스에 대해 언급했던, 덜 자주 주목받는 요소들 중 일부를 고려해 보면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니체는 소크라테스의 기이한, 유혹하는 힘을 아주 잘 알고 있었다. 니체는 소크라테스를 가리켜, “이 조롱하고 현혹하는 괴물, 피리 부는 아테네인은 거만하기 이를데없는 젊은이들을 떨게 만들고 흐느껴울게 만들었다”고 적었다. 니체는 이러한 유혹의 심리적 과정(mechanism)을 정의하려 한다: “나는 소크라테스가 어떻게 반발을 야기할 수 있었는지를 이해할 수 있었다. 그러니 그의 매력에 대해 설명하는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