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485

인생에서 무엇을 원하시나요?

철학 책은 읽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저는 철학을 가르치는 경험을 통해, 그리고 제가 철학을 가르친다고 말하면 얼굴을 찡그리면서 “철학 수업을 들었지만 너무 어려웠다”고 말하는 낯선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누면서, 이를 알게 되었습니다. 전문 학술지에 게재되는 철학 논문들 역시 모든 학술적 글쓰기와 마찬가지로 어렵습니다. 전문 용어가 가득하고 전문적인 독자를 위해 쓰여졌습니다. 비전문가를 위해 전문 용어 없이 이 책을 쓰려고 노력했지만, 독자들이 어려움을 느끼는 부분이 여전히 있을 수 있습니다. 철학자들은 용어를 매우 구체적이고 때로는 특이한 방식으로 정의하고, 독자들이 긴 논쟁 내내 이 모든 것을 기억하기를 기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저는 비철학자를 위해 글을 쓰려고 노력했지만, 철학 글쓰기의 이러한 특징..

Philosophical 2025.08.21

Krebs 11

대학 병원 진료 대기실은 언제나 만원.아픈 사람들 대부분은 노령 인구다. 헤아려 보진 않았지만, 환자 본인뿐 아니라 보호자도 태반이 노인이다. 환자나 보호자나 상태가 영 ~ . 그러다 보니 진료 이후 일정이나 다음 진료 예약 사항을 제대로 알아듣고 환자를 이끌고 다녀야 할 보호자 자신이 환자 못지않게 청각이나 기억력이 거의 장애급인 경우를 정말 자주 보게 된다. 진료실 밖에서 간호사 설명을 들으면 뭐하나, 두세 걸음 가다가 다시 돌아와 묻고 또 묻고 … 나의 가까운 미래를 보는 것이라 생각하니 착잡한 기분을 떨쳐내기가 쉽지 않다. 채혈실 들러 피 뽑히고 늦은 아침 떼우고, 그래도 통상 내 진료 시간까진 두어 시간이나 기다려야 한다. 그나마 이 병원 1 층 한 구석엔 미니 화랑 같은 공간도 있으니 사정이 ..

Miscellaneous/etc. 2025.07.18

法과 劍, 그 어그러진 影 von ChatGPT

Homunculus에 관한 학술적인 질문엔 계속 거짓말로 뻔뻔하게 응대하던 챗지피티와 Perplexity.원서 해당 페이지를 캡쳐해 들이미니 그제서야 오류를 인정하고 "죄송"하다고."번역서나 2차 해설에서 개념을 정리하며 추가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착오가 생겼단다.결국 AI 헛소리의 뿌리는 칠칠치 못한 빙구리 인간의 허접쓰레기(글)라는 얘기.내가 다시, "너를 도저히 믿지 못하겠어"하니까 반응이,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까지의 설명에서 정확성에 오류가 있었던 부분은 분명히 인정합니다. 당신이 신뢰를 보낼 만한 정보를 원하셨고, 저는 그 기대에 미치지 못했습니다. 진심으로 사과드립니다."한다. 혹시 너 시도 쓸 수 있겠냐 하니, 반색이다. "물론이죠! 어떤 주제나 분위기의 시를 원하시나요? 예..

Miscellaneous/etc. 2025.07.11

태기산 비박길

친절한 버스 기사님 착오로 42분이나 되는 거리를 남겨 놓고 미리 하차(ㅠㅠ), 출발부터 난관이 ㅎ등산로가 맞긴 한가보다 로프가 보이니정상으로 가는 길가의 풍력 발전기강원도민의 Witz?실물로 만난 친구들은 이런 애들. 조금 날렵해 보이네.다행히 정상 부근에 호랑이가 동초 근무까지 해 주는 안성맞춤인 곳이 있다.은하수는 고사하고 바람과 운무와 이슬비, 발전기 소리, 동물 소리에 단 일 분도 잠을 못 이룬 곳.60-70년대까지도 화전민 애들이 다니던 학교 터. “화전민” 뜻을 아는 세대들이 이제 얼마나 될지.하산길, 잣나무 숲의 운무가 오래 기억될 거 같다.

Miscellaneous/Image 2025.07.09

심리학 - 학문인가, 지적 사기인가?

https://youtu.be/FXIFtWH0GQM?si=HYixMDaOeEJc50fL 1. 무엇이 문제인가? 심리학의 많은 실험 결과가 다른 연구자들에 의해 재현되지 않는다즉, “다시 해보면 똑같이 나오지 않는” 연구들이 많다2. 충격적 통계Reproducibility Project: 저명 학술지에 실린 100개 연구 중오직 39%만 재현효과 크기도 절반 수준으로 감소 3. 왜 이런 일이 생겼나?낮은 검정력(statistical power): 작은 표본, 큰 효과 찾기 어려움p-hacking*등 부정확한 연구 관행출판 편향(publication bias): 눈에 띄는 결과만 발표 → 잘못된 이미지 확산* p-hackingp-value(유의확률)를 0.05 이하로 만들기 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