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도 유대교도 모두 자기네가 더 온화한 종교라는 점을 강조하는데, 이는 다 거짓말이다. 기독교 전통에는 처벌에 관한 엄청나게 많은 자원이 존재한다(만 생각해봐도 알 수 있다). 유대교 전통이 죄의 댓가를 엄격히 기록하고 힘들게 속죄할 것을 요구하는 것도 분명한 사실이다. … 두 전통 사이에는 상당한 정도의 연속성이 존재한다. 대체로 기독교가 유대교와 같은 방향으로 더 멀리까지 나아간다. … ‘교환적인 용서’의 개념은 기독교 복음서에도 등장한다. “네 형제가 잘못을 저지르거든 꾸짖고, 뉘우치거든 용서해주어라.”(누가복음 17.3-4) … “그러니 여러분은 회개하고 하느님께로 돌아오시오, 그러면 하느님께서 여러분의 죄를 깨끗이 씻어주실 것이며, 여러분은 주께서 마련하신 위로의 순간을 맞이하게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