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 5

노년의 자기 서사가 가지는 의미

너스바움은 인간의 삶에서 강력한 '감정'의 체험이나 미리 대비하기가 불가능한 '운'이 지니는 중요한 의미와 역할을 대변하고 있는 우리 시대의 대표 철학자로 잘 알려져 있다. 그녀는 노년에 이른 사람들이 자주 사로잡히게 되는 회고의 감정에 대해 언급하면서 그것이 어째서 노인의 자아 정체성에서 중요한 요소인가를 설명한다. 우리는 어차피 과거를 바꿀 수 없으므로 기억을 되살리고 음미하려는 시도를 가치가 없다고 여기는 경향이 있는데, 실제로 그녀는 그러한 일에 그렇게 하지 않아도 얼마 남지 않은 삶의 시간을 사용하는 일이 바람직한가라는 물음을 제기한다. 또 가령 그것이 불합리한 일이 아니고 의미 있는 일이라면 무엇을 생각하고 무엇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한가라는 질문도 던진다. 그녀는 고전 전문가로서 고대 작가들..

Philo-counseling 2024.05.24

"A part of me dies with you"

잔인하지만 잔인하지 않은 영화.폭력, 어둠, 타인뿐 아니라 자기 자신과 자신의 운명을 향한 증오, 그리고 empathy가 잘 어우러진 영화. 주역들의 무거운 연기, 톡톡 튀는 말장난 대신 이따금씩 원주민어로 표현되기도 하는 철학적 내용의 대사, 특히 Bale의 비명 대신 천둥 소리를 삽입한 감독의 센스가 부러웠던 영화.   https://youtu.be/SHrvcH_hS9Q?si=YyQhRh7gDGLG3Yf5  https://youtu.be/II90HF1jVgg?si=rrY3xO7PQ3-heYpP

<파이드로스>편에 대한 너스바움의 해석

이 사람[= 소크라테스]은 사랑하면서도 사랑에 빠지지 않은 사람처럼 한 젊은이에게 말하고 있다. 이 장면에서 그가 사랑하는 자는 당연히 바로 그 젊은이다. 우리가 소크라테스에게 연인의 페르소나를 부여해 본다면, 그는 자신이 행할 연설의 올바른 수신인을 찾을 필요가 있다. 그래서 그는 묻는다. “내가 대화하고자 하는 그 젊은이는 어디 있는가? 난 그 젊은 친구가 내 말을 듣기를 바란다. 그러지 않고 서둘러 떠나버려 사랑에 빠지지 않은 자에게 자신을 허락하는 일이 없도록.”(243 e)소크라테스는 자신의 연설을 받아들이는 자가 변하게 되리라는 사실을 암시한다. 그래서 그는 자신의 말을 수용할 준비가 되어 있는 젊은이가 있는지를 묻고 있는 것이다. 이 물음에 파이드로스가 대답하는 장면에 대한 묘사는, 내 생각..

Philosophical 2024.05.10